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에 있어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경험과 만족을 제공하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보다 편안한 것에 익숙해지며 결국 소비자 만족도 제고는 적절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보다 나은 소비자 경험을 제공하는데 있다. 디바이스 제품의 가치도 단순히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보다는 소비자 경험의 확장성을 담보로 해야 하며 AR/VR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활용 패턴에 대한 깊은 이해와 더불어 소비의 마지막 단계인 결제에 이르기 까지 생태계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경제부문의 저성장 지속이라는 ‘뉴노멀’ 시대가 IT 시장에도 적용되는 추세다. 국내 IT 시장은 2017년까지 5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고 있어 IT 시장도 저성장 기조의 고착이라는 '뉴노멀' 시대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태블릿 시장에서도 더 이상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스마트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태블릿 시장에서도 더 이상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스토리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하드웨어 인프라 시장에서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저성장 기조는 새로운 IT 환경으로의 변화를 가속화 시키는 촉진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업들은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보다 민첩하고 유연한 ‘디지털 네이티브’ 방식으로 움직이게 될 것이며, 이러한 과정은 거시적 규모로 확산되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인더스트리 4.0의 주요 기반으로 IT 영역 뿐만 아니라 전세계 경제 변화를 주도하게 될 것이다.
인프라 아키텍처를 고려하는데 있어 클라우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이미 넘어선 것으로 보이며 클라우드가 IT 인프라 모델의 유일한 대안으로 꼽히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또는 멀티 클라우드 환경이 점차 일반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지 및 인공지능 영역은 독자적인 시장 구축보다는 모든 영역 및 기술과 연계돼 새로운 가치 창출의 중심이 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IoT에 연관된 프로젝트 및 사업 영역에는 진화된 머신러닝과 더불어 인지 및 인공지능 분야가 필수 영역으로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데이터는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가 그 가치를 결정한다. 빅데이터 기술이 성숙되고 진화함에 따라 기업들은 새로운 기술과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전통적인 분석 플랫폼과 통합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이를 통해 기업 내외부에 새로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반드시 수익에 기반을 두게 될 것이다.
생태계 구축과 파트너쉽 확보가 중요한 사물인터넷 시장의 복잡성은 점차 구도를 잡아갈 것으로 보인다. 사업에 대한 실험적 접근보다는 생태계에서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모델 구현이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IoT를 위한 인프라 및 플랫폼 구축은 점차 현실적인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진행될 것이다.
디지털 활용의 증가로 디지털과 사용자를 연결하는 ‘사용자 환경’(UI)의 중요성이 어느때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VR/AR 기술의 발달로 몰입형 사용자 환경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AR/AR 기술은 다양한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개인의 게임 및 영화 등 컨텐츠 활용 뿐만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 및 기업 업무의 효율성이나 정보처리 능력 향상은 물론 마케팅에도 적극 활용하게 될 것이다.
Clean & powerful Easy to use multipurpose business HTML5 template.